|
::: 신학전망 169호
:::
[특집]5.18 민중항쟁 30주년 기념 학술발표회
5.18을 기억한다.
계시로서의 역사: 5.18에 대한 종교적 해석의 시도
[논단]
사제독신제의 법제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현대적 의미
한국천주교회의 첫 선교사 주문모 신부의 활동과 사제상
기도의 준비로서의 루이 랄르망의 마음 지킴
[번역]
사제양성에서의 하느님 말씀
[서평]
복음서의 예수 그리스도 |
|
::: 신학전망 168호
:::
[논단]
진리안의 사랑과 가톨릭사회론
주님의 기도에 대한 교부들의 해설
경청에 대한 상담학적 고찰
[번역]
신학교 공동체 안에서
형제적 삶을 형성하기 위하여
[영성생활]
영성의 원천:복음
[서평]
존 힉의 영혼형성 신정론 |
|
::: 신학전망 167호
:::
[특집] 다문화사회와 한국교회의 역할
다문화사회와 한국교회의 역할
세계화에 맞선 초대 교회의 평등사상
종합토론 및 질의응답
[논단]
바오로사도에 따른 교회 직무의 위상에 대한 성서적 고찰
죽음의 위기에 처한 태아와 레비나스의 타자성 윤리: 의식의 전환을 위한 시도
십자가 성 요한의 욕구의 정화
[번역]
역사속에서 읽기, 언어안에서 읽기
[영성생활]
진리의 버드나무, 다석 류영모 |
|
::: 신학전망 166호
:::
[논단]
본당 사목계획서의 현황과 개선 방향 : 광주대교구 광주서부지구 본당을 중심으로
완벽주의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예수의 특이성 : 정당한 혼잡주의는 존재하는가
[영성생활]
사제직은 무엇인가?
[서평]
한글자로 신학하기 |
|
::: 신학전망 165호
:::
[논단]
바오로와 예수님:전승사적 연속성과 신학적 일치의 문제
수련기에 관한 ㅛ회법적 규정의 원천과 적용
카이사르의 것과 하느님의 것
도덕경의 문화관
[특별기고]
순교와 교회:초대교회 순교자 공경의 의미와 기원
[번역]
기호학과 복음 도서:마르14,1-11에 관하여
[영성생활]
의식성찰기도:그리스도와 함께 살아가면서 성장하기
[서평]
'보편적 진리와 주체의 해체' 시대의 사도 바오로 |
|
::: 신학전망 157호
:::
[논단]
"너와 나 사이에 싸움이 일어나서는 안된다."
(창세 13,8): 설화 분석을 통해 본 분쟁 극복
교회와 사목의 관계
종교적지혜인가, 과학적 지식인가?:
종교 연구의 두 흐름
외국인노동자 지원활동에 대한 평가와 제안:
개신교와 천주교를 중심으로
[서평]
북녘 교리서를 읽고
[영성생활]
그리스도와 아빌라의 데레사: 희망의 대화들 |
|
::: 신학전망 164호
:::
[논단]
바오로 사도가 복음의 진리로 선포한 자유에 대한 성서적 고찰: 갈라티아 서간에 따라 살펴본 자유 개념과 신학적 의미
욥 42,7-8의 '하느님의 평결'에 대한 고찰
그리스도 하느님의 아들 주님: 그리스도론적 지존 칭호들
아우구스티누스의 관상에 대한 이해
그리스도교 기도의 이해와 실천
부부갈등에 대한 고찰
[번역]
친교인 교회: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친교 개념에 대한 성찰
[영성생활]
우리의 형제 사도 바오로
[서평]
맹자의 성선론 연구 |
|
::: 신학전망 163호
:::
[논단]
쿰란 다니엘서 사본에 나타난 아람어-히브리어의 전환
마르코 복음서의 인자 연구
예수 그리스도의 땅성에 관하여
토마스 베리의 우주이야기
기억의 대립과 토착문화 인식: 김원영 신부의 수신영락을 중심으로
하느님 말씀을 큰소리로 읽기: 유다 해방신학으로부터의 성찰
[버역]
선교의식 함양을 위한 사제양성에 대하여
[영성생활]
마음에 이르는 길 |
|
::: 신학전망 162호
:::
[논단]
그리스도의 구원을 아담의 죄에 대비시킨 바오로 사도의 의도와 그 의미(로마 5,12-21)
그리스도인의 실존과 성화의 길: 로마 7,14-25을 중심으로
최양업 신부의 천주가사의 가르침에 대한 교부학적 고찰
교리교안 작성에 있어 올바른 학습 목표 설정을 위한 제언
[번역]
친교와 차이
종교신학에 대한 칼 라너의 기여
[영성생활]
하느님의 부르심과 격려를 받은 이들 |
|
::: 신학전망 161호
:::
[논단]
신명기의 레위인과 에제키엘서의 레위인
교회법적 제재에대한 개괄:광주대교구장 교령에 드러난 파문과 정직 제재에 대한 이해
아우구스티노에게 있어 사제서품의 의미
십자가의 성 요한 사상 안에 나타난 '영적 여정'의 특징 : '영혼의 정화'에 대한 강조
마르 에프렘의사마리아 여인과 헤라클레온 단편들
[영성생활]
기도중 침묵
아우구스티노의 내면성 체험:"돌아오라, 마음으로 돌아오라." |
|
::: 신학전망 160호
:::
[논단]
시편 73편의 '마음'에 대한 연구
윤리적 행위를 통한 자유의 실현
[번역]
전능하신 아버지 하느님
중국교회 상황에서 본 종교자유와 인권
[영성생활]
욥기에 나타난 하느님의 답변 : 대화와 현시
[서평]
'성경' 유감(有感)
'나자렛 예수](제1편) : 세례에서 거룩한 변모까지 |
|
::: 신학전망 159호
:::
[논단]
하느님의 잔혹한 명령앞에서 아브라함이 가졌던 침묵에 대한 재고 : 창세 22,1-3
그리스도인이 선택한 새로운 삶의 상징인 세례: 미카엘 슈마우스의 노선을 중심으로
청소년 종교교육의 어제와 오늘: 개신교 종교교육을 중심으로
현대가톨릭 청소년 사목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영성생활]
"마리아는 이 모든 일을 간직하였다."(루카 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