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신학전망

신학전망 과월호

 
 

신학전망

신학전망 과월호
 

::: 신학전망 181호 :::
[논단]
하느님 선물의 점층적 발전: 율법과 포도주, 성령
주일학교 교리교육의 교회론적 성찰과 교육적 패러다임
자유주의적 빈민정책과 가톨릭 사회교리: 영국의 자유주의적 빈민정책과 새로운 사태를 중심으로
사목상담안에서 인간 중심상담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 여성종교인의 예언자적 생태운동

[번역]
영과 물질의 통일성에 대하여

[영성생활]
화해로서의 기도: 몸, 기억, 죄

::: 신학전망 180호 :::
[논단]
성경 번역의 언어 형식적 등가:
동릭인칭대명사가 사용된 성경 히브리어 동사문의 고나찰과 비교 분석
'새로운 복음화'와 아시아 교회:
제13차 세계주교대의원회의와 FABC의 복음화관 관찰
에크하르트의 영혼의 근저에서 신의 탄생
에크하르트 설교 71에 나타난 무(無)의 의미
후쿠시마, 그 이후: 핵발전에 대한 신학적 성찰

[서평]
주님의 말씀

::: 신학전망 179호 :::
[특집]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의 신학
삼위일체 하느님의 사랑: 사랑의 유비-발타살 신학의 장점
발타살의 드라마틱 구원론: 삼위일체 하느님 사랑의 결정적 표징인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
예외없는 희망? 발타살의 '지옥'담론과 그 종말론적 귀결에 대한 고찰
발타살의 영성: '따뜻함'의 회복

[논단]
인간 주체와 사랑에 대한 신학적 이해: 칼 라너의 사상을 중심으로
부끄러움 또는 질문하는 역사의식: 5월 민중항쟁과 광주.전남 가톨릭교회

[번역]
설교, 이렇게 해야 한다.

[영성생활]
용서를 통한 내적 치유

::: 신학전망 178호 :::
[논단]
로마 8,18의 고난과 영광에 대한 주석 연구
1티모 2,9-15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성직자의 입적과 제적
안중근 토마스의 동양평화론과 가톨릭 신앙
광주항쟁과 천주교회의 진실 알리기

[번역]
덕의 의미,어제와 오늘

[영성생활]
덕의 윤리학과 성윤리

::: 신학전망 177호 :::
[특집] 새로운 50주년을 위한 신학하기
신앙언어로서 신학의 어제와 오늘
새 50주년을 위한 토착화 신학 진로 모색
그리스도교 신앙 전통의 해석학적 기반: 현시와 선포
신학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성찰: 한국적 사회참여 신학을 위하여

[논단]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 사제 독신의역사 비교: A.D.200-800년 교구 사제직 전통을 중심으로
무교와 천주교 종교 의례의 상호 소통 구조에 대한 고찰: 조선 후기의 접촉을 중심으로

[번역]
`in persona Christi`의 우리말 번역에 대하여

[영성생활]
사제 직무의 본질

[서평]
여가와 경신

::: 신학전망 176호 :::
[논단]
루카 복음 4,1-13의 구약 성경 인용문 연구
인간의 실존과 계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신학을 바탕으로
자크뒤퓌의 종교다원성의 신학
어른 교리교육의 중요성과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소고
안중근과 우찌무라 간조의 평화론 연구

[번역]
오리게네스의 발자취를 따라서: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의 위대함과 한계

[영성생활]
분노에서 감사로: 성체적인 사람이 되는 것

[서평]
글로벌 생명학

::: 신학전망 175호 :::
[특집] 한국 사회와 천주교
물질만능, 경제중심 시대와 가톨릭 사회교리
한국도덕윤리의 기초정립을 향하여 : 지능적 도덕교육에서 본능적 도덕교육으로
지구촌 시대가 요구하는 소통과 살림의 교회 : 비움에 바탕한 섬김과 나눔의 살림살이

[논단]
사도행전의 '우리'대목에 관한 새로운 고찰
'노자'의 여성성 은유에 대한 철학적 분석
조선 후기 무교가 천주교 수용에 미친 영향

[번역]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의 수용사 연구: 아구스티누스 당시-제2차 바티칸 공의회까지

[영성생활]
자선에 대한 교부들의 가르침

::: 신학전망 174호 :::
【논 단】
에녹1서 「비유의 책」 연구:
‘(저) 사람의 아들’에 대한 언어・내용적 고찰

역사적 예수 연구와 베네딕토 16세의
「나자렛 예수」: 방법론과 예수-상(像)

필론의 작품에 나타난 신비주의:
그 특징과 배경 연구

쿠사누스의 ‘아는 무지’(docta ignorantia):
대립의 합치와 통일성에 대한 인식 추구

【번 역】
관상적 설교법

【영성생활】
호감 목록

【서 평】
「오늘의 예수」

::: 신학전망 173호 :::
[논단]
마르 9,14-29에 나타난 인물로서 예수의 서사적 분석

대사(Indulgentia)에 관한 교회법적 규범

용산참사 되짚기 : 가톨릭 사회 교리의 연대성과 보조성에서 본
한국의 도시재개발

현대 가톨릭 교회의 생태 포용 발전관

영신수련을 통한 실천적 생태영성을 위한 소고

젊은이들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교리교육의 비전

[번역]
저항적 무신론과 구원의 확실성 사이에서: 그리스도론적 변신론의 길

[영성생활]
신비주의자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서평]
바늘귀를 통과한 부자

::: 신학전망 172호 :::
[논단]
조지린드벡의 후기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고찰

가톨릭 경제 윤리에 입각한 새로운 임금 제도 모색

부와 가난에 대한 바실리우스의 이해

[번역]
하이데거의 실존철학 개념에 대한 연구

[영성생활]
아씨시 성 프란치스코의 신비 체험

"하느님의 그림자가 됨" : 하느님과 일치안에 사는 삶

[서평]
오늘 우리에게 구원과 해탈은 무엇인가?

::: 신학전망 171호 :::
[특집] 한국 사회와 천주교 문화

역사적 과저에서본 한국 문화와 천주교

천주교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과 천주교의 관계

정치적 대립과 종교적 통합의 동학: 군사전부 시기의 교회와 국가

질의응답

[논단]

현대 가톨릭 교회의 인간관에 대한 고찰

하느님 말씀을 대하는 평온함:"거룩한 독서"의 준비로서
영신수련 177번의 활용

주앙쯔의 수양공부에 대한 현대적 이해

[번역]

예수그리스도: 역사안에서의 절대자?
한 역사적 실재의 보편적 의미에 대한 물음

[영성생활]

사제들의 생활문화에 대한 성찰

::: 신학전망 170호 :::
[논단]
1사무의 세 본문들이 드러내는 문자적.내용적 상관성: 1,11,21,23의 MT,LXX,4QSama를 중심으로

[특별기고]
축복인가,찬미인가: 미사의 감사기도에서 사용한 benedicere의 번역에 대하여

[번역]
기호학과 성경 연구: 방법론의 발전과 인식론의 관점

[영성생활]
'내 백성을 위로하여라': 용산 남일당 공동체의 체험과 성찰

[서평]
신의 언어

  • 처음
  •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다음
  • 맨끝
개인정보처리방침
58230 전남 나주시 남평읍 중남길 12-25 광주가톨릭대학교출판부
TEL : 061-339-2200 / FAX : 062-339-2239 / E-mail : kjunmang@gjc.ac.kr
Copyright 2004 Gwangju Catholic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