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학전망 192호
:::
[논단]
신앙교육의 쇄신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연구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통한 '주체적 신앙인 양성'의 문제
한국 천주교회 평신도 교육 방법론 연구: 독일의 사례에 비추어
이냐시오의 영신수련 편집 : 시스네로스의 영적삶의 수련서와의 관련에 관한 고찰
인간의 행복과 지구의 건강을 우히ㅏㄴ 생태영성 탐구: 찬미받으소서에 대한 신학적 성찰
최인호 소설의 종교성 탐구: 길없는 길과 유림을 중심으로
[번역]
성경의 도덕관념에 대한 그레고리우스 대 교황의 설교 |
|
::: 신학전망 191호
:::
[특집]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요한 8,32)
현대철학에서의 진리 이해 가능성 : 존재론적 진리 이해
바오로에게 계시된 진리에 관한 의미론적 분석
회칙 "진리의 광채"로 본 진리와 자유의 관계
[논단]
본당, '보편적 교회'가 실현되는 장: "교회헌장"에 따른 본당에 대한 교회론적 이해
청소년 사목에서 또래연대 가능성 모색
[번역]
탈신화화와 신화가 상실된 시대의 신앙적 진리
[서평]
자비의 얼굴 |
|
::: 신학전망 190호
:::
[특집]
하느님 나라와 오월의 절대공동체
5.18교육과 대동전신, 광주교육의 과제: 광주광역시 교육정책 진단과 제안
1980년 5월 광주공동체의 의미와 현재화에 대한 고찰
[논단]
'사람의 아들-그리스도론'과 복음화의 상관성
천주가사<사심판가>,<공심판가>의 교리 형상화 양상과 복음화 방향
도덕적 어지럼증과 윤리적 반성의 상관관계 고찰: 착상 전 유전자 진단 사례를 중심으로
아구스티누스의 영적 체험과 영성신학적 함의
[번역]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영속적 의미 |
|
::: 신학전망 189호
:::
[논단]
타비타, 그녀는 누구인가?: 공적 직무를 수행한 '여제자'(사도 9,36-43)
아시아의 평화와 종교간 대화: FABC의 대화노력을 중심으로
세계화 시대 '가톨릭'(catholic-universal) 교회되기: 예수회의 '국제협력'에서 '보편적 사명'으로 전환
6세기부터 10세기까지 사제 복장
선교사들이 직면한 토착언어 문제: 선교역사를 통해 보는 몇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번역]
죄인들의 교회
[영성생활]
영성의 바탕으로서의 철학적 인간학 |
|
::: 신학전망 189호
:::
[논단]
타비타, 그녀는 누구인가?: 공적 직무를 수행한 '여제자'(사도 9,36-43)
아시아의 평화와 종교간 대화: FABC의 대화노력을 중심으로
세계화 시대 '가톨릭'(catholic-universal) 교회되기: 예수회의 '국제협력'에서 '보편적 사명'으로 전환
6세기부터 10세기까지 사제 복장
선교사들이 직면한 토착언어 문제: 선교역사를 통해 보는 몇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번역]
죄인들의 교회
[영성생활]
영성의 바탕으로서의 철학적 인간학 |
|
::: 신학전망 188호
:::
[논단]
시르네로스의 '영적 삶의 수련서'와 이냐시오의 '영신수련': 이냐시오의 '선택' 개념의 기원 탐구를 통해 문헌적 원천 문제에 대한 재고
룻의 생애에 근거한 결혼이주여성 삶의 현황과 과제
커뮤니케이션 신학의 발전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한국가톨릭문화콘텐츠 가치체계의 수립 방안 연구
여성 수도자의 화 경험에 대한 근거 이론 연구
[번역]
전인적으로 설교하기: 새 복음화를 위한 고전적 지혜
[영성생활]
기도의 원천으로서 향주삼덕 |
|
::: 신학전망 187호
:::
[특집] 진리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진리 이해의 문제에 대한 오늘날의 해석학적 흐름
가톨릭교회의 성서 해석과 진리 이해
삶의 진리를 성찰하는 해석학으로서의 철학상담: 고통받는 한국 청소년을 중심으로
[논단]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하느님의 백성' 신학에 관한 연구
초기 5세기까지 초대교회의 사제 복장
단테의 '신곡'을 통해서 본 아퀴나스의 대중화와 한국 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 모색
[영성생활]
영성의 바탕으로서의 신학적 인간학 |
|
::: 신학전망 186호
:::
[논단]
아담의 죄와 죽음에 관한 해석학적 고찰: 바오로서간(로마 5,12-21; 1코린 15,20-22)을 중심으로
이혼 후 재혼한 이들의 영성체와 사목쇄신
책임있는 출산과 정결의 덕에 대한 윤리적 고찰
본당 사목 활성화의 요인
소공동체 운동, 교회의 울타리를 넘어: 한국 천주교회 소공동체의 사회적 확장 가능성에 대한 연구
[번역]
예수의 죽음을 동반하는 종말론적 사건, 특히 잠자던 성도들의 되살아남(마태 27,15053) |
|
::: 신학전망 185호
:::
[특집] 5.18민중항쟁 34주년 기념 학술발표회
5.18광주민중항쟁 34주기를 맞이하여
종교코드를 통해 읽는 5.18항쟁: 천주교를 중심으로
5.18광주민중항쟁과 교회의 길
[논단]
목적론적 세계관과 성사의 사효성의 연광성에 대한 기초신학적 연구: 칼 라너를 중심으로
성경안에서 옷의 상징적 의미
청소년 발달과 신앙교육
[영성생활]
하느님의 온살림에 비추어 다시 읽는 열 말씀 |
|
::: 신학전망 184호
:::
[논단]
레위 19,5-8: 거룩함의 역설
신의 의미에대한 종교철학적 이해
에크하르트 파리질문집1에 대한 하나의 해석: 신은 존재가 아니라 지성이다.
천주가사 사향가의 교리 실현화 양상
세계화 시대의 정의 : 공동선 - 20세기 정의사상과 가톨릭 사회정의를 비교하며
[번역]
밀라노의 주교 암브로시우스의 여러 작품에서 드러난 죄를 용서해주는 성체성사 |
|
::: 신학전망 183호
:::
[논단]
쿰란과 여성: 문서적 근거를 통해 재구성한 공동체적 지위
일치와 다른 사람의 유익을 돌봄
그리스도교 사상의 흐름 속에 나타난 신앙과 이성의 조화
상호문화사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소통의 길: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와 사마리아 여인과의 대화에 근거하여
수도생활과 노년기 영성: 한국천주교 여자수도회가 직면한 노년기 수도생활에 대한 고찰
[번역]
설교자와 설교에 관하여 |
|
::: 신학전망 182호
:::
[특집] 5.18 민중항쟁 33주년 기념 학술발표회
기쁨과 희망, 슬픔과 고뇌를 함께 하는 교회
천주교회의 5월운동과 사회참여 : 1980년대 전남지역의 활동을 중심으로
광주민중항쟁과그리스도교 신앙의 변증법적 이해: 5.18 체험의 인간학적 고찰
[논단]
수도승 운동 안에서 독신의 역사: 가시아누스와 바실리우스 관점에서 본 교구사제의 독신
수도생활과 중년기 영서: 한국천주교여자수도회가 직면한 중년기적 위기의 특성과 서원생활
사회교리의 인간발전관에 비추어본 이태석 신부의 선교사례: 통합적 발전중심선교의 가능성
[번역]
더 나은 설교자가 되기 위한 열가지 제안
[영성생활]
기도의 신학적인 차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