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신학전망

신학전망 과월호

 
 

신학전망

신학전망 과월호
 

::: 신학전망 204호 :::
【특 집】지학순 주교 선종 25주기 기념 심포지엄
• 신정훈: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제시한 사목 방향과 지학순 주교의 사목
• 이동화: 지학순 주교의 ‘통합적 인간 발전’의 실천

【논 단】
• 이영덕: 로베르트 슈패만의 행복론
• 김혁태: 교회의 ‘사랑 실천’(Caritas)에 대한 신학적 숙고
• 김도현: 현대의 과학 시대에서도 신앙은 과연 의미가 있는가?

【번 역】 호세 그라나도스 (김상용 역)
• "우리는 다시 확고하게 고해성사를 중시하여야 합니다”(자비의 얼굴 17항)

【영성생활】윤주현: 그리스도교 영성의 원류인 오리게네스

【서 평】조승준: 발타사르의 구원이야기

::: 신학전망 203호 :::
【특집: 평신도가 바라보는 새로운 복음화】

• 주원준: 세상과 ‘다르다’(different): 히브리적 시선으로 시도하는
한국 가톨릭 순교신학

• 최현순: 주교와 신자들의 ‘특별한 협동’(singularis conspiratio, 계시 헌장 10항):
평신도의 예언직 수행을 위한 신학적 기초

• 황경훈: '통합적 인간 발전’으로서의 새 복음화: ‘세계 시민’으로서의 평신도의
역할을 중심으로

【논단】

• 유성현: 프란치스코 교황의 ‘혼인의 신비’(Nuptial Mystery) 이해:
사랑의 기쁨 74항을 중심으로

• 정환규: 포르치운쿨라의 전대사에 관한 연구의 유혹에 관한 문헌 분석

【번역】이병호 역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연설
• 프랑스 주교회의 의장 죠르주 퐁티에의 연설

【영성생활】안토니 F. 치폴로(김태균 역)
• 한 시간을 성녀 엘리사벳 앤 씨튼과 함께

【서평】남상헌: 내재적 목적론(박찬국 저)

::: 신학전망 202호 :::
【논단】

• 김영선: 고대 이스라엘의 신전매음 제도와 ‘커데샤’와 ‘카데쉬’에 관한 연구
• 최현순: ‘틀림’을 넘고 ‘다름’과 함께 ‘일치’를 향해 가는 개혁의 방법을 찾아서
• 이진옥: 가톨릭 교회 문헌을 통해 바라본 청소년 상의 변화
• 박종주: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 모임의 12단계 프로그램에 스며있는 고해성사의 영성

【번 역】J.라칭거(김태균 역)
• 신앙의 하느님과 철학자들의 신: 자연신학의 문제에 대한 소고

【영성생활】
• 황종열: 하느님의 지수광풍(地水光風)과 통합 영성 살이

【서 평】
• 김상용: Man at Play(Hugo Rahner)

::: 신학전망 201호 :::
【논단】

• 임형권: 앙리 드 뤼박(Henri de Lubac)의 불교 연구: 비교 신학의 시각에서

• 황경훈: 그리스도교와 불교의 인식론적 대화: 로너간의 회심과 지눌의 깨달음을
중심으로

• 김치헌: 조지 엘리엇의 '다니엘 데론다'에 드러난 종교적 초월성

• 김도현: 갈릴레오 사건: 교회와 과학자 집단 간 갈등의 시발점

• 김남희: ‘중간 신자층’의 신앙 활성을 위한 성찰적 신자 재교육

• 김선필 한국 천주교회의 제주해군기지 반대운동 전개과정과 신학적 함의

::: 신학전망 200호 :::
【특 집】교부들의 사회 교리

• 안봉환: 키프리아누스의 재화의 올바른 사용

• 노성기: 바실리우스가 세운 사랑의 도시, ‘바실리아드’

• 최원오: 암브로시우스의 사회 교리

• 하성수: 부와 가난에 대한 크리소스토무스의 가르침

• 변종찬: 우구스티누스의 ‘의로운 전쟁’ 이론

【번 역】J. 프랭크(이병호 역)
•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e), 혹은 기술공학의 고삐 풀린 행태

【영성생활】
• 김명철: 포르의 성 루도비코 마리아의 영성

【서 평】
• 김영선: Levites and the Boundaries of Israelite Identity(Mark Leucher)

::: 신학전망 199호 :::
[특집] 교구 사제 영성II
-사도 바오로의 식별에 비추어 본 교구 사제 영성
-교수 사제 영성의 기초에 대한 교의신학적 고찰: 서품, 직무, 교구성을 중심으로
-내적 인간으로서의 교구 사제 생활의 역동성

[논단]
-성혼예식과 풍산제의의 연관성에 대한 재고
-역사와 초월: 칼 라너의 신학사상을 중심으로
-루터의 정신적 외상을 통해 바라본 인격과 신학: 현대 가톨릭 신학계의 루터 상에 대한 재평가

[번역]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가톨릭 교회의 교회론

::: 신학전망 198호 :::
[특집] 5.18민중항쟁 37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출애굽의 기억공동체와 5.18 기억공동체
-5.18과 광주 인권 정책

[논단]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 실존의 두 기초, 교의와 사목의 필연적-실제적 상관성
-마태오 리치의 세계지도에 대한 선교신학적 고찰
-한국 가톨릭 여성 수도자들의 현실과 미래 비전: 2015년 '봉헌생활의 해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인간의 의식은 진화를 통해 과연 한 점으로 수렴하는가?: 테이랴르 드 샤르댕의 인간현상에서 제시된 '의식', '수렴' 및 '진화' 개념에 대한 재고찰

::: 신학전망 197호 :::
[논단]
-하느님 구원 사건의 정점인 예수의 족보와 다섯 여자(마태 1,1-17)
-지성적 신비주의의 요체로서 쿠자노스의 intellectus 개념
-17세기의 사제 복장
-가톨릭 수도자가 상담자로서 경험하는 소진의 현상학적 연구
-복음의 기쁨과 어느 시골 신부의 일기

[번역]
새로운 보음화와 선도자로서 가톨릭 학교장 양성

::: 신학전망 196호 :::
[논단]
-토마스아퀴나스의 신학대전에 나타난 '전인으로서의 부활관'과 교회의 종말론적 가르침에 대한 신학적 고찰
-'연대'의 그리스도론적 의미: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의 Mysterium Paschale에 나타난 연대 개념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 연대와 가톨릭 교회
- 시경,서경의 인경적 천관 연구
- 국가정책과 법이 양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생명복음에 근거하여 한국의 가족계획 정책과 모자보건법을 성찰하며

::: 신학전망 195호 :::
[특집]
친교의 전문가, 친교의 건설가
아우구ㅡ티누스 사제직의 근본 정신: Ubi humilitas, ibi caritas
교구 사제를 위한 영적 양성의 필요성: 현대사제양성을 중심으로
교구사제의 영성과 성윤리: 전문직 윤리에 따른 윤리강령의 제안과 전망
[논단]
성경에서의 재분배: 2코린 8,15을 중심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어머니 교회
하느님은 자연법칙 속에서 어떻게 일하시는가?: 종교와 과학 간의 관계 이해
[번역]
개별교회에 봉사하는 교구 사제

::: 신학전망 194호 :::
[논단]
과잉결말 현상의 예 : 역대기 저자의 오벳 에돔에 대한 주석(1역대 13-16장, 26장)
보편적이고 구체적인 진리로서 역사적 예수
가난과 정의와 복음화에 대한 기초신학적 고찰
에크하르트가 제시한 성경 주석의 보편적 모델과 그 예시 그리고 그 적용 사례
타중의 인식론: 세계화 시대에 타자들의 연대를 위한 양성 그리스도론과 삼위일체론에 바탕을 둔 인식론
마더데레사를 통해 살펴본 자비의 카리스마
5.18 트라우마와 치유: 개인과 사회공동체의 변증법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신학전망 193호 :::
[논단]
교육자 바오로의 페다고지와 교육 영성
현대의 봉헌생활: 제2차 바티칸공의회화 이후 교황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정의,평화,창조보전: 수도생활의 쇄신을 위한 신학적 성찰과 제안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사제 복장
초기 조선 천주교회에서의 선비정신과 순교정신의 만남
안중근 의거와 빌렘 신부

[번역]
내적 법정과 외적 법정: 신학생 양성에서 통일된 양성 계획 수립을 위해

  • 처음
  •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다음
  • 맨끝
개인정보처리방침
58230 전남 나주시 남평읍 중남길 12-25 광주가톨릭대학교출판부
TEL : 061-339-2200 / FAX : 062-339-2239 / E-mail : kjunmang@gjc.ac.kr
Copyright 2004 Gwangju Catholic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