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신학전망

신학전망 과월호

 
 

신학전망

신학전망 과월호
 

::: 신학전망 216호 :::
[논단]
초월 철학과 신학: 칼 라너의 사상을 중심으로 - 이규성
시민성과 종교성의 양립 가능성과 그리스도교 시민 교육적 합의에 대한 시론 - 조현진
AI시대의 도래와 교회의 미래: AI의 현실에 관한 분석과 교회에 끼칠 영향 진단 - 김도현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한 생태신학적 전망 - 유은미
보나벤투라의 '하느님을 향한 마음의 여정'에 나타난 '수련'의 의미 - 정태영

[번역]
무신론 - 에머리히 코레트, 역자:김태균

[서평]
나는 무엇을 믿는가 - 김일두

::: 신학전망 215호 :::
[특집] 포스트 팬데믹과 가톨릭 시민
변화하는 시대의 성숙한 신앙 - 디아무드 오무크
팬데믹 시대, 사회적 고통에 귀 귀울이고 응답하는 가톨릭 시민: 혐오 문화, 엘리트주의 그리고 모든 형제들 - 조민아
팬데믹 2년, 교회의 사목적 대응과 전망 그리고 가톨릭 시민의 가능성 - 경동현, 이미영
포스트 팬데믹과 시노달리타스의 방향: 프란치스코 교황의 문헌을 중심으로 - 강신숙

[논단]
시노드 정신을 살아가는 교회와 주교회의 역할 연구 - 엄재중
전국 공용 교구 사제 특별 권한에 관한 고찰 - 김효석

[서평]
Ancient Christian Martyrdom: Diverse Practices, Theologies, and Traditions - 권영파

::: 신학전망 214호 :::
[논 단]

• 김영선: 이사야서의 평화에 대한 비전과 평화 운동

• 서명옥: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신학 안에 여성적 관점이 있는가?:
공의회 그리스도론 안의 페미니즘과 휴머니즘의 상보성

• 방종우: 개인의 존재 안에서의 공동체성과 타자성:
프란치스코 교황의 회칙 '모든 형제들'을 중심으로

• 김현조: 수도회 입회 장애와 교회법 관면: 법 속의 자비의 체험

• 정규현•오세일: 천주교 평신도의 사회참여 의식에 관한 연구

[번 역]
• 한분도 역: '주교 예절서'의 개정

[영성생활]
• 황종열: ‘존재 중심 동반’에 관하여

::: 신학전망 213호 :::
【논 단】
• 허 규: 기적적인 고기잡이와 새로운 부르심
• 최현순: 참된 개혁, 그릇된 개혁:
콩가르의 '교회 내 참된 개혁, 그릇된 개혁'에 나타난 참된 개혁의
조건들에 대한 비판적 연구
• 권영파・이규성: 스힐레벡스의 ‘익명의 그리스도인’ 이해
• 박홍기: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사상의 이중 개념: ‘버리고 떠나 있음’,
‘무’, ‘지성’에 대한 고찰
• 이창석: 내적 시간성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마음과 사르트르의 의식에 대한 비교연구
• 이진옥: 참 빛으로 함께 걸어가는 길:
지학순 주교의 가르침 안에서 나타난 현대 청소년 사목 방향에 관한 연구1

【번 역】
• 신정훈: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한국 주교들의 발언

::: 신학전망 212호 :::
【논 단】
• 박준양: 아시아 신학 방법론에 관한 성찰: 귀납적 접근과 삼중 대화를 중심으로
• 김상용: 즐거움과 도덕 생활: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을 중심으로
• 김우선: 프란치스코 교황과 콩가르의 교회개혁론
• 김영훈: 프란치스코 교황의 청년 이해: ‘인퀴에투디네’(Inquietudine) 개념을 중심으로
• 황경훈: 장일순의 종교성과 시민성 탐구: '무위당 장일순의 노자이야기'와 '나락 한알 속의 우주'를 중심으로
• 김선필: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 천주교회의 현실과 새로운 희망: 종교 사회학적 관점

【영성생활】
• 박병관: 김수환 추기경의 그리스도교 영성: 맥락과 해석

::: 신학전망 211호 :::
【특 집】 현대 사회의 ‘거주’ 문제
• 홍경완: 공간, 거주, 집: 거주하는 인간
• 송혜경: 가나안 정복 이야기(여호 2-12장)에서 드러나는 ‘땅’의 의미
• 이 호: 교회건축과 거주
• 황종열: 오늘 우리의 집 살이에 관하여: 온 존재들에 열린 숨 살이를 중심으로

【논 단】
• 백운철: 무로부터의 창조와 성경: 성서적 창조 신학을 위한 성찰
• 지용식: 중세 교회법상의 usura 법리의 발전 과정에 관한 연구
• 정영란: 베르나노스의 ‘투쟁의 글’에 나타난 신학적 양상: 브라질 ‘유배’ 기간(1938-1945)을 중심으로
• 최선․최희전: 위계와 공간을 넘어: 한국 가톨릭 이주사목의 의의와 전망

【번 역】
• 칼 라너(김태균 역): 하느님께서 사람이 되셨다

::: 신학전망 210호 :::
【논 단】
• 강선남: 제자의 길: 루카 14,25-35
• 황종열: 명말 예수회 선교사들의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새로운 이름 짓기를
중심으로
• 강영옥: 가톨릭 사회 영성에 관한 연구: 최정숙을 중심으로
• 정범수: 그레고리오 성가의 직접 낭송창법(tonus in directum)의 이해와 실제적 활용

【번 역】
• 조승준: 교회에 드리운 어두운 날들: 교회법과 성 학대 스캔들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대응

【영성생활】
• 윤주현: 소화 데레사의 영적 어린이의 길에 대하여

::: 신학전망 209호 :::
[논단]
• 김영선: 판관기 19장에 대한 거룩한 독서(Lectio Divina)
• 서명옥: 하느님의 육화와 인간의 인간화: 그리스도인의 성탄절 이해와
실존에 관한 연구
• 김현조: 수도회 평의회 입법: 법제사(法制史)적 연구를 통한 입법 기준 마련
• 김영훈: 세심에서 영적 자유로의 길: 영적 식별의 관점에서 살펴 본 '영신수련'의
세심에 관한 해석학적 고찰
• 박병준: 그리스도교의 전통적 죽음관의 현대적 해석: 실존 철학적·형이상학적
관점에서

【번 역】
• 이병호: 믿는 다는 것, 의심한다는 것: 모든 이를 위한 기회
• 윤빈호: 실크로드에서 그리스도교 예술의 몇 가지 모델들

【영성생활】
• 윤주현: 안티오키아의 이냐티우스 영성의 주요 주제들

::: 신학전망 208호 :::
【논 단】
• 최현순: ‘공동합의성’ 실현을 위한 교회론적 기초: 저마다 제 길에서 그리고 함께 가는 길
• 박병관: 프란치스코 교황의 ‘함께 걸어가기’ 리더십: 전기적 사건들과의 관련에 관한 탐구
• 이부현: 에크하르트 사상을 체계화시킬 수 있을까?
• 박종주: 한국 천주교 지역 교리서 편찬을 위한 제언
• 조발그니: 전환학습 관점에서 본 성인 신앙교육으로서 성지순례

【번역】
• 김상용 역: 뉴먼의 ‘결혼반지 가르침’: 존 헨리 뉴먼이 보는 독신과 혼인
(대니얼 시어)

【영성생활】
• 윤주현: 인간에 대한 보편적 성화 소명의 실현 과정

【서평】
• 김종훈: Dynamics of Theology

::: 신학전망 207호 :::
【특 집】여성의 천성
• 장 경: 페미니즘과 인간 존엄성
• 강은희: 구약 성경의 여성들이 보여 주는 하느님의 모상성
• 이은영: 에디트 슈타인의 감정이입의 여성론: 타자로서의 동반자(Gefährtin)
개념을 통한 인격의 실현
• 최진일: 교회의 가르침에서 바라본 여성의 천성과 그 소명의 위대함에 대하여

【논 단】
• 서한석: 고백자 막시무스의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의 신비’
• 서명옥: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신학에 기초한 인간과 사회와 종교
• 김영훈: 요한 카시아누스와 로욜라 데 이냐시오의 영적 식별 비교 연구

【번 역】
• 김상용 역: 여성의 천성에 반대하며: 공허하고 적용하기 어려운 개념
(루체타 스카라피아)

【서 평】
• 김일두: 신이 없는 세상

::: 신학전망 206호 :::
【특 집】 지학순 주교 선종 25주기 기념 제2차 심포지엄
• 최현순: “그리스도의 표지가 교회의 얼굴에서 더욱 찬란히 빛나도록”
(사목 헌장 43항):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에 따른
지학순 주교의 교회관 이해
• 장동훈: 지학순의 공의회, ‘지학순’이라는 공의회:
한국 천주교회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수용 과정 안에서의 지학순 주교
【논 단】
• 임형권: 니사의 그레고리우스의 신학 사상에서 물질성의 긍정
• 조현진: '새로운 사태'에 대한 지공주의적 해석을 위한 시론:
지공주의와 사회 교리의 창조적 만남을 위하여
• 김도현: 무신론적 과학주의의 근간이 되는 과학 이론들은 과연 완벽한가?:
현대 우주론과 진화론의 문제점과 한계들
• 나종천・이정기: 가톨릭 장애인 단체의 지역사회조직에 관한 사례 연구:
여주시 ‘함께길벗’을 중심으로

【영성생활】
• 윤주현: 삼위일체의 성녀 엘리사벳 영성의 주요 주제들

::: 신학전망 205호 :::
【특 집】5·18 민중항쟁 기념 학술 심포지엄

• 박승찬: 김수환 추기경의 공동체 영성을 통한 5·18 정신의 계승
• 경동현: 대항 공론장과 한국 천주교회 공동체 운동의 통합적 전망: 5·18 공론장의 교회화를 위한 성찰
• 강인철: 변혁의 리미널리티와 해방의 커뮤니타스: 광주항쟁에 대한 새로운 접근

【논 단】
• 김영선: 이주민 환대의 당위성: 우리도 이방인이었다!

• 장재명: 몬타누스주의와 테르툴리아누스주의
• 유은미: 통합적인 인간 발전을 위한 생태 영성과 실천

【번 역】 베네딕토 16세 / 역자: 김상용
• 베네딕토 16세가 말하다: 교회와 성추행 추문

【영성생활】
• 윤주현: 오리게네스의 인간학과 주요 영성 주제들
• 황종열: 우리의 빛 살이에 대한 영성적 성찰

  • 처음
  •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다음
  • 맨끝
개인정보처리방침
58230 전남 나주시 남평읍 중남길 12-25 광주가톨릭대학교출판부
TEL : 061-339-2200 / FAX : 062-339-2239 / E-mail : kjunmang@gjc.ac.kr
Copyright 2004 Gwangju Catholic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